행동지원
행동 분류
- 공격행동 다른사람을 때리거나, 물거나, 할퀴거나, 물건을 던지고 차는 등의 공격적인 행동을 합니다.
- 자해행동 머리박기, 손 물기 등 자신의 신체 부위 때리기 등의 행동을 합니다.
-
떼쓰기
- 떼쓰기/심하게 울고 소리 지르기(지시를 전혀 듣지않고 심하게 떼쓰거나 울고 소리질러요.)
- 발달특성상 영유아 시기에는 자기조절과 감정조절이 어려워 떼를 쓰거나 울고, 감정 기복을 심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이 시기에는 부모가 도움을 제공해서 감정 조절하기, 사회적 규칙 수용하기 등을 가르쳐야 합니다.
행동의 기능
- 공격/자해행동 및 떼쓰기/심하게 물고 지르기는 이를 통해 원하는 것을 얻은 경험을 하며 학습되었을 수 있음
- 욕구가 좌절되었을 때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을 적절히 조절하지 못한 결과일 수 있음
사례 및 중재방법
사례
-
본인이 원하는 것이 있을 때
예 간식, 핸드폰, 티비, 놀이터, 외출, 장난감 등
-
본인이 원하는 것을 받지 못해서 좌절했을 때
예 거절당했을 때, 제지당했을 때, 나중에 하자고 했을 때 등
중재방법
평소에 연습해요
-
1. 원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는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알려주고 연습해야 합니다. 의사소통 카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자녀에게 적절한 의사소통을 유도하고, 의사소통을 하면 원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아이가 의사소통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경험하도록 해주세요.
예 적절하게 말로 요청하기 / 요청하는 말 들려주면 따라하기 / 의사소통 카드 건네주기
-
2. 평소에 정확한 기대와 규칙을 알려주어야 합니다.
바람직한 행동과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 무엇인지, 언제 얼마나 원하는 것을 얻거나 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. 규칙카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-
3. 원하는 것을 언제 할 수 있는지 미리 알려줍니다.
얼마나 기다려야하는지 보여주며 기다리기를 연습합니다. 그림 일과표와 타이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타이머를 보여주며 기다리기 연습을 합니다. 시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타임 타이머를 활용해보세요.
-
4. 기다리면서 할 수 있는 대안을 평소에 알려주고 반복해서 연습합니다.
기다리면서 할 수 있는 활동으로는 너무 자극적이지 않고 아이가 선호하는 활동이 좋습니다. 평소에 아이가 기다리면서 할 수 있는 거리를 정해진 가방이나 바구니에 담아놓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예 그림책 보기, 감각 장난감 놀이, 스티커 붙이기, 점토 놀이 등
이렇게 대응해요
- 행동이 나타나기 전에 대응하는 것이 가장 좋음
- 어떤 상황에서 나타나는지, 이 행동 이전에 어떤 신호를 보내는지 파악하고 가능한 평소에 예상하고 대비
- 자해행동의 경우 보호장비를 활용하여 아이가 다치지 않도록 조치
- 강한 제압 및 강한 훈육과 과도한 대응은 행동을 악화시킬 수 있음
- 원하는 것이 있어서 행동이 나타날 때는 그것을 들어 줄 수 있는지 여부를 빠르게 판단하고 대응 방법 결정
원하는 것을 들어줄 수 있을 때
-
1. 평소에 연습한대로 적절한 방식으로 요구하도록 한 이후에 원하는 것을 들어주세요. 의사소통 그림카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예 적절하게 말로 요청하기 / 요청하는 말 들려주면 따라하기 / 의사소통 카드 건네주기
원하는 것을 가리키기, 몸짓
-
2. 평소에 연습한대로 간단한 기대와 규칙을 알려주세요. 규칙카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원하는 것을 받지 못해 좌절했을 때
-
1. 아쉬운 마음을 간단히 읽어주세요. 감정그림카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-
2. 평소에 연습한대로 정확한 기대와 규칙을 알려주세요.
-
3. 나중에 원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, 평소에 연습한대로 언제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며 얼마나 기다려야하는지 알려주세요.
-
4. 평소에 연습한대로 기다리는 동안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차분하게 알려주세요.
평소에 아이가 기다리면서 할 수 있는 거리를 정해진 가방이나 바구니에 담아 놓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.
- 차분하고 지지적인 태도로 대응해주세요.
- 공격/자해/떼쓰기행동 중, 혹은 공격/자해/떼쓰기행동 직후 원하는 것(예, 핸드폰)을 받으면 공격/자해/떼쓰기행동은 반드시 증가합니다. 공격/자해/떼쓰기 행동이 아닌 방식으로 원하는 것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합니다.
- 너무 달래거나 강압적으로 혼을 내는 것은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